오늘은 다소 도발적인 제목으로
다시 얘기를 풀어갈려고 합니다
어쩌면 긴 호흡의 경력관리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관심없는 분들은 그냥 패스
단도직입적으로 신입분들에게 호소합니다
말년에도 똑같이 프리생활하려고 하면 신입때 다 때려치고
좀 단가(요즘은 최저임금인상으로 전혀 단가 안조음 지금 단가가 10년전 단가 그대로 쭈욱~)
높다고 프리전향하세요
그 프리자리
계약기간내에 얼마든지 갑작스런 사정으로 방출통보가 자연스레 날라오는 환경이 만족하고 좋으십니까?
그곳이 아니라면 좀더 안정적인 곳에 가서 안착하고 싶은 분들은 경력관리 하셔야 합니다
프리를 해야 할때는 이런때입니다
정직경력을 쌓다가 잠깐 이탈할 수 잇습니다
또는 쉬는기간에 잠깐 기타 등등
예를 들어
케이스1)
7년 이나 10년 정직원 경력잇으면서 그래요 몇년 머 2,3년 할수 잇어요 그러다가 프리생활 알잔아요? 그런패턴이 지겨워져서 다시 좋은 기회 잇스면 다시 정직 지원해서 갈수 잇어요 왜냐 정직이 주요경력이니깐
케이스2)
정직경력2,3년에 프리 7년 9년하고 프리가 지겨워서 왠만한 중견회사 이상 가고 싶다고요 죄송합니다만 여러분이 HR이라면 케이스1을 원하시나요? 케이스2를 원하시나요?
케이스3)
정직경력1년에 프리 6년 9년 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프리하고 싶은 분들은 경력관리 필요업습니다 그길도 좋은곳 좋은분들 만나서 롱런할 수 잇습니다
제가 각 케이스가 좋다 안좋다 긍정적 부정적으로 말하기 보다는
최종 종착지가 프리로 마무리하는게 아니라면
주로 신입들 분들에게 호소 하는겁니다 경력관리가 말년을 위해 중요하니 프리선택은 마지막 카드로 남겨두시라는 말씀으로 마무리하겠습니다
이제는 왠만한 회사는 알고 있습니다 프리랜서출신에 대해 다소 색안경을 끼고 평가가 안좋습니다 아무래도 책임감에 대한 평가 이겟죠
좀더 상위레벨(?) 회사로 가고 싶으시면 영리하게 정직원으로 경력관리하세요 프리는 잠깐이며 잠깐은 플러스 요인도 되나 프리경력이 길어지고 커지면 상위레벨(?)회사 진입하기 다소 많이 어렵습니다
'잡담 > 생각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지향적업무와 기술지향적업무 (0) | 2019.02.06 |
---|---|
제발 최소 6개월 개발경험 가지고 시작하세요 (0) | 2019.02.06 |
디지털노마드족 과 현실 (0) | 2019.02.06 |
종업원(employee)마인드와 창업마인드 (0) | 2019.01.13 |
사이드 프로젝트(side project) 진행하세요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