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트렌드(BUSINESS Trend)/기타사항(ETC)

[Startup] some point written by LeanStart Book

by 테크한스 2016. 4. 3.
반응형

lean startup


만들기-측정-학습

마크 역시 창고에서 창업하여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실리콘밸리 첨단 기술 창업가와 마찬가지로 창업가 중 한명


스타트업이란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신규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려고 나온 조직


스타트업에서는 가치라는 게 무엇인지 새롭게 정의해야 한다


그런데 기능 대부분이 필요없는 것이라면 나는 과연 무엇을 해야할까


어떻게하면 우리는 이러한 낭비를 피할 수 있을까


전략을 더 뛰어난 것으로 수정하면서 제품개발은 몰라볼 정도로 생산적으로 바뀌었다


이건 우리가 일을 더 해서가 아니라 고객의 실제 필요를 파악하게 되면서 더 똑똑하게 일할 수 있게 되어서 였다


모든 스타트업 실험목표는 그 비전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사업을 구축하는 방법을 발견하는데 있다.


크게 생각하고 작게 시작하라


전략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포기해야 할때라는 의미가 아니라 반대로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즉각적이고 정성적인 피드백을 받아야할 때임을 의미


그는 제품을 어떻게 만들어서 어떻게 팔지 알게 될때까지는 엔지니어링에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없다


성공은 기능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죠 성공은 고객의 문제를 푸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스타트업의 중심에는 구상을 제품으로 변화시키는 촉매가 있다 고객이 그 제품과 상호작용하면서 피드백과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피드백은 정성적이기도(고객이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하고 정량적이기도(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것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하다


아이디어 > (만들기) > 제품 > (측정) > 데이터 > (학습)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방향전환이다 만들기>측정>학습 순환을 마치면 어느 창업가나 직면하는 가장 어려운 문제에 부닥친다 원전략을 방향전환할지 고수할지 정하는 것이다 가설 중 하나가 잘못됐음을 발견했다면 새 전략적 가설로 주요한 변경을 해야 할 시간이 된 것이다


스타트업에서 전략의 역할은 바른질문을 하도록 돕는 것


모든 사업계획은 몇가지 가정으로 시작한다 주어진 가정을 택한 전략을 펼치고 회사의 비전을 어떻게 실행할지 보여주며 나아간다 가정은 사실로 증명되지 않았고 (어쨌든 가정일뿐) 사실 잘못될때도 있으므로 스타트업 초기 노력의 목적은 가정을 되도록 빨리 테스트하는 것이어야 한다


성공과 실패는 계획의 어느부분이 멋지게 실현되고 있는지 실패하고 있는지 찾아내서 그에 따라 전략을 수정하는 창업가의 능력과 도구 유무에 달려있다


단지 최소의 노력으로 만들기>측정>학습 피드백 순환을 가장 빨리 돌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초기 수용자의 마음에 들려면 정말 얼마나 많은 기능을 넣어야 할까 모든 추가 기능이 낭비의 형태이고 그 기능때문에 테스트를 연기한다면 학습과 시간관점에서 보면 어마어마한 잠재적 비용이 딸려나간다






반응형

'비즈니스 트렌드(BUSINESS Trend) > 기타사항(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an startup summary  (0) 2016.04.03
lean startup book  (0) 2016.04.03
[kmug 글] 평범한 인간이었던 스티브 잡스  (0) 2016.02.03
IP address in PHP  (0) 2016.01.23
COUNTRY NAME BY USER IP CONNECT  (0) 2016.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