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개발(Mobile Dev)/마케팅(Promotion)

광고없이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방법 7가지

by 테크한스 2016. 2. 3.
반응형


어플에 광고를 삽입하지 않고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방법 7가지

http://isao76.egloos.com/2394373

http://gigazine.net/news/20130223-make-money-with-apps/


스마트폰용 어플의 경우 화면 하단에 작은 광고를 삽입해서 그 표시횟수나 클릭 수에 따라 개발자가 보수를 받는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PC와 비교해서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의 경우, 그렇지 않아도 좁은 표시공간에 광고를 삽입했다가는 어플의 사용감이 저해되거나 유저가 귀찮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광고삽입은 신중히 검토해야 합니다. 물론, 단순히 어플을 유료화하거나 어플 내 과금을 실시할 수도 있지만 수익력을 강화하는 방법은 그뿐이 아니라고VentureBeat는 지적하면서 다음의 7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Apponomics: 7 ways to make money from apps without ads | VentureBeat
http://venturebeat.com/2013/02/18/apponomics/


1:게임분야로 전개

유저 수가 8천만명인 통화・메일어플인 「LINE」은 완전히 무료입니다. 그러나 「LINE」은 이러한 유저 기반을 통해서  「LINE 팝」이란 퍼즐게임을 전개하여 하루에 800만 인스톨을 달성하고 2주도 안되서 10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는데 성공했습니다.  

2:해외시장을 노리기 


전세계 어플 유저의 성향이 모두 똑같으란 법은 없겠죠. 또한 나라마다 어플에 지불하는 액수에 차이가 있음은 당연한 일입니다. 스마트폰은 글로벌화를 가속시켰지만 모든 개발자가 이러한 흐름을 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실리콘밸리의 개발자들이 미국시장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 것이  정답이라고는 하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왜냐하면 「Google Play」에서 2012년 10월에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국가는 일본이며 일본시장은 이 서비스 매출 전체 중 29퍼센트를 차지하며 미국의 26퍼센트를 웃돌고 있습니다. 또한 「App Store」수익이 뚜렷하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는 일본, 러시아, 중국, 대만, 태국, 브라질, 멕시코, 한국 등이며 이들 국가는 모두 미국보다도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국가를 무시하면 큰 수익이 기다리는 찬스를 놓친다고 할 수 있겠죠. 

3:다른 어플을 설치하도록 권유 

돌핀 브라우저」는 유저에게 다른 어플을 소개하고 설치하도록 해서 다른 개발자들로부터 보수를 받고 있습니다. 돌핀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유저에게 추천하는 어플 목록이 표시되며 이 기능은 유저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좋은 수익원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어플을 찾기 위한 어플로써 추천기능이나 페이버릿 리스트 기능을 갖춘 「appsfire」도 유저들에게 다른 어플을 설치하도록 해서 타 어플개발자들로부터 수익을 얻는데 성공했습니다. 

4:프리미엄모델을 사용

Noom」은 유저에게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표시해 주는 어플입니다. 또한 이 어플은 월정액을 지불한 유저에게 프리미엄코칭이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 모델을 통해 수익화에 성공했습니다. 이렇게 기본적인 기능을 무료로 하고 보다 고성능의 서비스를 원하는 유저에게 약간의 액수를 과금하여 회사가 수익을 올리는 시스템은 현 상황에서 관계자 모두에게 효과적이라 생각됩니다.  

5:라이센스 비지니스

라이센스비지니스는 유저를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는 캐릭터나 브랜드를 가진 업체만이 할 수 있는 것으로 모든 모바일 어플관계자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죠. 이런 종류의 수익화에 성공한 회사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Angry Birds」로 알려진 Rovio로 이 회사는 테마파크나 티셔츠, 완구, 스마트폰케이스나 물통, 문구류, 침대시트, 과자까지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200가지 이상의 파트너기업에게 캐랙터 사용권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12년에 Rovio는 라이센스료로 전체수익의 30%를 얻었으며, 2012년에는 이 비율이 50%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6:기업용은 유료화


클라우드저장서비스인 「Box」는 기업용 비지니스를 펼쳐 성공을 거둔 전형적인 서비스입니다. 일반유저에게 과금을 하는 대신에 「Dropbox」 등 경쟁이 치열한 컨슈머마켓에서 벗어나 미개척시장이 펼쳐진 기업용 비지니스로 방향을 돌렸습니다. 또한 기업의 직원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일원화해서 관리하는 서비스인 「Evernote Business」도 비슷한 전략에 기초한 수익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7:엔터테인먼트 스타일의 광고를 만들기


게임 내의 마을에 광고를 탑재하는 것만이 크리에이티브한 광고는 아닙니다. 6천만 다운로드를 기록한 「Talking Tomcat」을 개발한 Outfit7가 성공시킨 엔터테인먼트 스타일 광고의 예를 보시죠. 

드림웍스는 영화「마다가스카」의 프로모션을 「Talking Tomcat」에서 펼치기로 결정했습니다. Outfit7은 클라이언트가 단순한 배너광고를 원치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곤 인터랙티브한 광고를 작성했습니다. 즉, 유저가 Tomcat에게 5번 이상 말을 걸면 「마다가스카」광고를 실행하고 어플배경이 변화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Outfit7의 수익화를 담당했던 Narry Singh씨는 「게임의 일분에 영화 프로모션을 삽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유저가 어플을 사는 것이 아니라 스토리를 원하도록 말이죠」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몇가지 수익방법은 개인 개발자에게는 어려운 방법일 수도 있지만 단순히 광고를 삽입하거나 자국의 유저에게 과금하는 것 이외에도 어플로 수입을 얻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다는 것의 예시입니다. 또한 제작한 어플이 충분한 수익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개발자들에게 한가지 말씀 드리자면  「만일 현재 당신이 제작한 어플이 충분한 수익을 내지 못해도 당황하지 마십시오. 많은 사람들이 설치하고 활발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데 집중합시다. 유저가 증가하면 어느 시점부터는 수익이 따라오는 법입니다」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모바일개발(Mobile Dev) > 마케팅(Promo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내 광고  (0) 2016.02.03
promotion about foreign country  (0) 2016.02.02
JAPAN-APPBANK  (0) 2016.01.31
Promoting Your App  (0) 2016.01.27
Market Share For App Selling  (0) 2016.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