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개발(Mobile Dev)/마케팅(Promotion)

Market Share For App Selling

by 테크한스 2016. 1. 25.
반응형

---------------------------------------------------

JAPAN MARKET

----------------------------------------------------

written by http://cafe.naver.com/mcbugi


일단 일본 홍보에 관한 자료인데 여기에다가 올리면 되는지 모르겠네요. 혹시 담당자님~ 다른곳이면 말씀주세요. 바로 옮기겠습니다. 




최근에 일본 시장을 무진장 돈을 써가면 많은 점을 배웠습니다. 


1. AppBank이런 일본 사이트는 무료 앱 홍보 안해준다는 겁니다. 아무리 메일을 날려도 안해주더라구요. 한 20군데 메일을 보내서, 매번 앱마다 성공했던 곳은 아래 사이트 입니다.  찾아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유료광고는 몇백입니다. ㅎㅎㅎ 무료 리뷰 요청 해준 경험이 있는 곳은 아래입니다. 


(1) http://app-liv.jp -- 여기는 앱 홈페이지가 있어야 홍보를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의 링크를 달아줘야하거든요. 

3개월 전에 제가 리뷰요청할때랑 사이트가 약간 바뀐거 같아요. 어째됐든, http://app-liv.jp/contact/advertisement 에 가셔서 하단에 법인명, 담당자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앱이름... 문의내용(이 부분에 앱관련 정보를 예쁘고 상세하게 적으세요.) 그리고 버튼눌러 보냈어요. 그랬더니, 한 일주일 지나 리뷰가 달리기 직전에 이메일이 왔었습니다.  이메일의 내용은 해당 사이트 홈 링크, 기사링크를 당신 홈페이지에 넣어줄수 있냐고 왔었습니다. 그래서 홈페이지에 링크 달아놓고, 스샷을 떠서 보냈지요(일본말을 할줄 몰라서, 스샷뜨고, 짧은 문장을 자동 일본어로 바꿔서 보냈어요. 말이 길어지면 문장이 이상해져요.ㅎㅎ) 그리고나서 바로 몇일 뒤 리뷰가 달렸습니다.


(2) http://applian.jp -- 이분은 페이스북으로 활동을 많이 하시는 개인분입니다. 효과는 좋아요. 여기 글 올라오고 판매갯수가 좀 늘었습니다. 

(3) http://iphone-lab.net -- 여기도 여러번 해주셨습니다. 


당연히 앱 무료 리뷰 요청 메일 보낼때는 일본어로 정성것 쓰시기 바랍니다. 영어로 대충써서는 밀려드는 앱 무료 홍보요청을 그 어느 누구도 해주지 않아요. 일본어 자동 번역 말고, 유료로 번역하셔서(장당 12000원)보내세요.

그리고 준비할 또한가지 유트브 동영상 맥에서 iMovie활용해서 잘 만들어서 무료 리뷰 요청할때 꼭 같이 해주세요. 


위 사이트 접근해서 어디에서 요청하는 모르신다면, 크롬설치해서 ㅎㅎㅎ 자동번역하신다음에 찾아보시면 메뉴에 있어요. 무료 앱 홍보 요청이라구  있어요.  메일을 최대한 정중히 일본어로 써서 보내세요. 당연 리딤도 포함해서요. 각 사이트마다 요청하는 양식이 있습니다. ^_^ 저는 완전 꼼꼼히 아주 상세히 적어서 보냈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일본어는 정말 한글자도 읽을수 쓸수 없는 사람입니다. ㅋㅋ)




2. facebook 을 통해 유료 홍보 


(1) facebook의  일본 시장 점유율을 알고 싶은데.. market share하면 나오더라구요.  http://www.socialbakers.com/facebook-statistics/ 사이트에 가서 일본의 facebook 마켓쉐어를 확인했구요..  괜찮은 편입니다. 


iOS 앱을 facebook에서 홍보하려면 좋은점..


  - Target을 정확히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아이폰 버전까지 선택해서 타겟팅(광고노출)이 가능합니다.

  - iOS iPad , iPhone , 또는 와이파이만, 등등 사용할 수 있어요. 

  - 아래 그림 참조. 




  - 또한가지 좋은점은 광고를 노출만 하고 돈을 낼것인가, 사람들이 클릭을 하면 돈을 지불할것인지 정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클릭하면 돈을 주는 방식을 따라야겠죠? 클릭하면 앱스토어로 바로 연동되도록… ^_^  자세한건 아래 그림에서 물음표 누르면 친절히 설명해준답니다. 





(2) 주의할 점 

한가지 주의할 점은 facebook 광고는  PC 에서 사이드에 노출되는 일반 광고와 모바일로 Feed되는 광고가 있습니다. 여기서 반드시 모바일 Feed로 하셔야 해요. 저는 처음엔 멋모르고 일반광고로 했다가 한 100만원 날린거 같아요. ^_^ 모바일피드 광고는 핸드폰으로 페이스북 사용하시면 뉴스피드 보다가 보면 중간중간에 오락 광고 많이 뜨잖아요. 그거에요. 전 페이스북 신삥이라 페이스북 사용법부터 익힌 후 광고 만들어 넣었습니다. 가면 자세한 설명이 있어요. 



(3) 경험 


홍보용 그림을 잘 만드셔야 해요. 출시기념으로 오늘 50%할인해서 얼마에  팔고 있으니 사시라고 해야하고요... 저 같은 경우에 2.99달라 짜리 앱을 홍보해서 하루에 50~100개정도 팔았었구요. 총광고비는 판금액의 3배정도가 나왔습니다.  한 2주에 걸처 테스트해 보며 얻은 경험입니다. 


2.99 달라짜리 앱을 페이스북 모발일 피드로  홍보를 해서 클릭을 유도하고 구매까지 하는 사람이 10명중에 1명정도 나왔구요.  결국 다하고 나서 계산해보니 약 앱판매수익이 총 광고비의 1/3정도 였습니다.  


문제는 그 뒤에 있습니다. 이렇게 홍보를 끝내고 나서도  계속 그 순위를 유지하면 좋으련만... 광고를 끊으면,,,, 바로 순위가 꼬꾸라지기를 반복합니다. 누구 한번 해보시고 방법이 다른 방법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결국 광고 안하고, 한 2개월 뒤에 다시 유료 광고하던 순위로 올라오더라구요.. 그 이유는 모르겠네요. 연구중... ㅎㅎㅎ)


하루 만원만 사용하는 광고도 가능합니다. 즉 개인이면 어느 누구나 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3만원정도의 광고비를 들여 저녁 11:00-12:00 한시간 정도 한 경우 5-10개 정도 판매를 했었습니다.  이렇게 광고비가 어느 정도 개인이 할 수 있으니... 좀 편하긴 해요. 


그리고, 저는 앱이 새롭게 설치되면 저에게 notification이  오도록 만들었습니다. 홍보나 광고에 어떻게든 활용해볼 목적이었죠... 광고시 시간대 대비  클릭률 및 구매율을 을 분석해봤습니다.   저는 처음에는 무식하게 하루종일 광고했는데요... 그래서 광고비 대비 앱 판매율이 낮습니다.  


저녁 10:10 ~12:30 사이에 광고시 클릭 후 앱판매율이 매우 좋았습니다. 한시간에 20~40개씩 (일본 한 곳에서요) 팔린 경우도 있었습니다. 물론 그에 비례하는 광고비를 소비하면서요... ㅎㅎㅎ   이 시간대는 광고비 대비 구매율이 가장 좋았던 시간입니다. 즉 2/3까지 앱판매로 광고비를 뽑더라구요. 

(집중적으로 광고비를 소비하시면 100개도 가능하실꺼에요. 저는 금액이 모자라 저정도였던것 같아요. 광고비 제한을 할 수 있거든요.)


혹시 일본시장에 눈독드리신 분들 참고하세요~ 무언가 큰 정보를 드릴려고 했는데 쓰고보니 별루 정보가 없네요..ㅎㅎㅎ


그리고 일본 공략 기본은 당연 유니버셜앱입니다. ^_^ 특히 교육쪽은요. 게임은 경험이 없어서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최근 저는 페이스북 광고는 안합니다.... 교육용 앱이라 좀 거시기해서요.. 게임이면 모를까...ㅎㅎㅎ




--------------------------------------------------------------------------------------------------------------------

일본 앱 리뷰 거재 사이트를 올립니다. 



<긴 필수>

1. www.appbank.net > 제공형식 있음. 

2. http://www.iphone-girl.jp/girlapp_form

3. http://app-review.jp

4. http://web.meet-i.com/news/?cat=7    --> 하단에 '거재 신청' 클릭

5. http://ipodtouchlab.com/about.html 가면 보내는 설명 나와있음. (주소는 nakimo@gmail.com ) 나중에 링크오면 수락해야 거제됨. 

6. http://iwire.jp/top/notice/press.html > 요기가서 메일 보내기. 



<왠만하면>

https://plima.jp/pc-contact  > 메일 송부 

http://www.donpy.net/oshirase/15049.html 메일 송부 

http://iphone-lab.net/invite/press-release 양식 입력

http://appsomm.jp/contact/ 양식입력

http://iphones.cx/ 양식입력

http://www.theiphoneappreview.com 



저는 일본어를 하나도 못합니다. 그래서 맥에 크롬 설치하시고, 자동 번역하면 볼 만합니다. 
그러면 해당 사이트를 좀 찾아보면 어디에 메일을 보내야하는지 나오는데요.. 

전 하이튼 일본어 하나도 모르고 위 사이트에 리뷰요청 모두 보냈어요. 
한 곳에서 리뷰해주고 나머지는 기다리고 있어요 !!! 

물론 일본어로 번역된 앱 디스크립션이을 그대로  위 리뷰 사이트에 메일 보냈어요. 
당연히 포토샵으로 앱 사진들 만들어서 첨부했고요, 유투브도 만들어 같이 넣어었어요.
기타 경쟁 어플이 뭐냐 이런 질문도 잇는데 그건 그냥 짧은 영어실력으로...
정 안되면 지식인 이용입니다.  어차피 짧은 문구가 대부분이라 어느 정도 폼이 만들어지면
위 사이트에 모두 동일한 형식으로 등록이 가능해요. 

여러분들도 해보세요.  일단 영어로 정중히 리뷰요청하고, 나머지는 위 일본어 설명을 첨부 및 기타..
영어로 하는게 버거우면... 한국어로 쓰고, 지식인에 일본어 요청하면 해주시더라구요. 
그럼..


혹시 다른 사이트 아시는 분~~~~ 공유해주시면 감사~~~~
-------------------------------------------------------------------------------------------------------------

United states

마케팅은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평소 활동하던 국내 게임 사이트 몇곳과 맥부기, 아사모 등의 카페에 홍보했지만
거의 효과가 없었고, 해외 쪽은 전혀 몰라서 가장 유명한 아이폰 게임 사이트인 '터치아케이드'에 게임 리뷰를 요청 했는데
7월 10일날 터치아케이드에서 리뷰가 떴고 그로인해 미국쪽 판매량이 급등했습니다.

그리고 터치아케이드의 리뷰 효과로 한국 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중국 등의 국가에서 
메인 New and Noteworthy에 올라갔고 (일본과 브라질에서 게임 카테고리 New and Noteworthy)
역시 판매량이 또 급증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인들의 게임 플레이 성향을 파악하지 못해서 였는지, 베타테스트 시켰던 주변인들이나 국내 게이머들은 전혀 지적하지 않았던 부분을 미국 앱스토어에서 마구 지적당하며 별 2개 러쉬를 받아서 판매량이 소폭 하락했고
(대부분 "게임은 정말 재미있는데 제한시간이 너무 짧다. 시간을 없애거나 늘려주면 별5개 주겠다"같은 리뷰)
그 영향으로 다음주 What's Hot으로 올라갈때 미국 시장에서만 메인이 아닌 게임 카테고리로 강등(?) 당했습니다.

What's Hot에 있는 동안은 사람들이 What's Hot을 잘 안봐서 그런건지 하루 평균 30~50개로 하락했고,
오늘 What We're Playing(스탭 추천 게임)으로 넘어간 후 순위를 보니 대충 하루에 10개 남짓 팔릴까 말까로 예상이 되네요...



What's Hot에 올라간 다음날 업데이트가 통과되어서 이번에는 해외 유명 아이폰 게임 사이트 쪽으로 
리뷰 요청 하는 쪽으로 리딤코드를 많이 뿌렸고 (8군데) 그 리뷰를 통해 판매량 상승과 New and Noteworthy 재진입을 노렸으나, 아직까지 리뷰 해준 곳이 한군데도 없어서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몇 곳에서는 "positive"로 보고있다고 메일을 보내왔지만 아직은 리뷰가 없네요. 그에반해 요청한적도 없는 148Apps, AppZapp, Best10Apps에서는 자발적으로 별점 4~5개 리뷰를 해준... 하지만 터치아케이드 만큼의 영향력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재미난 점은 호주와 뉴질랜드에선 업데이트가 통과되자마자 게임 카테고리 New and Noteworthy로 바로 올라가더군요. 물론 별 영향은 없었지만, 현재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제 게임이 게임 카테고리 New and Noteworthy / What's Hot / What We're Playing에 모두 등록되어있네요)

그리고 오늘 앱스토어가 갱신되면서 한국 앱스토어 게임 카테고리쪽에 제 게임이 배너 광고로 떴는데
이건 정말 아무 영향이 없는듯 싶습니다..

여태까지의 판매량은 미국이 50%가량, 호주와 캐나다가 각각 20%가량이고, 한국 뉴질랜드 중국 일본 브라질 등은
New and Noteworthy에 올라있어도 거의 영향이 없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국가별로 그 영향력이 많이 다른듯 싶네요


---------------------------------------------------------------------------------------------------------------------------------------------------------------

Press Release로 http://prmac.com/ 을 사용하고,
리뷰 요청으로 http://ispreadnews.com/ 사이트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모바일개발(Mobile Dev) > 마케팅(Promo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없이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방법 7가지  (0) 2016.02.03
앱내 광고  (0) 2016.02.03
promotion about foreign country  (0) 2016.02.02
JAPAN-APPBANK  (0) 2016.01.31
Promoting Your App  (0) 2016.01.27